본문 바로가기
생활상식

소방대응 1~3단계 알아보기

by 써봐 2022. 10. 30.
반응형

소방대응 1~3단계를 알아보려고 합니다. 핼러윈 행사에서 큰 사고가 나서 서울시내 소방서에서는 모두 출동명령이 떨어졌습니다. 현재 소방 3단계가 발령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더 이상 인명피해가 없기를 바라며 소방대응 단계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 

소방 비상 대응단계 ​

소방 비상 대응단계는 화재 등 재난 시 한개의 또는 그 이상의 소방서가 행하는 비상대응 단계입니다. 총 3단계로 구성되어있으며 예전에는 광역 1~3호로 명명되었으나 현재는 소방대등 1단계, 소방대응 2단계, 소방대응 3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소방대응 1단계~3단계

소방대응 1단계~3단계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

소방대응 1단계

일상적 사고에 발령되는 단계로 한 개 소방서의 소방력이 동원됩니다. 10명 미만의 인명피해,  3~8시간안에 상황이 해결될 것으로 판단이 되고 이 경우 현장지휘대장의 권한으로 발령됩니다. 관할 소방서 긴급구조지휘대가 출동하며 동원되는 인력은 관할 소방서 전 인원, 소방 차량 수십대, 4개의 팀인 119 구조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소방대응 1단계의 지휘는 관할 소방서장이 담당하게 됩니다.

소방대응 2단계

  • 중형재난에 발령되는 단계입니다. 1단계 발령으로도 대응이 어려울 것 같다고 판단될 경우에 관할 소방서의 소방서장이 직접 발령을 내립니다.
  • 대응 2단계가 발령될 경우 사고 발생지점 인근 2~5개의 소방서의 소방력이 총동원됩니다.
  • 차량 30여대, 특수구조단을 포함한 119 구조대, 인력 400여 명 등이 동원됩니다.
  • 소방서 현장지휘대는 긴급 구조 통제단으로 확대 운영됩니다.

소방대응 2단계는 주로 공공기관, 고층 및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에 발생한 중요화재 그리고 항공기, 철도, 발전소 등에 발생한 특수화재 시에도 발령되며 관할 소방서 통제단 부분 가동됩니다

소방대응 3단계

  • 심각한 상황의 재난이 발생되었을대 소방대응 3단계를 발령하게 됩니다,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에 절대 발동되는 일이 없어야 하는 소방 단계입니다.
  • 소방대응 2단계로 해결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이 된다면  지휘 본부장이 발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
  • 이 경우 소방본부장이 전체 상황 지휘를 맡으며 본부장이 시장에게 상황보고를 하게 됩니다.

소방대응 3단 게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소방본부의 소방력이 총동원되며 이 마저도 안될 경우 인접 지자체의 소방력까지 총동원되는 단계입니다.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