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올해 6월부터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됩니다. 대부분의 나라에서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고 저 또한 만 나이가 더 적합한 나이 계산방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. 하지만 학교입학, 청소년보호법, 병역등 국민들은 시행초기 많은 혼란은 있을 것 같습니다. 오늘은 만 나이 통일되면서 혼란스러운 부분과 만나이계산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리나라 나이계산방법 3가지
현재 우리나라 나이는 만나이,연나이,세는나이 이렇게 3가지로 계산되어 왔습니다.
- 만나이:태어나면 0세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늘어나는 나이계산
- 연나이: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는 나이 (병역법, 청소년보호법등에 적용 중)
- 세는나이:태어나면 1세 해마다 1살씩 늘어나는 나이
만나이 통일 되면서 혼란스러운 것들
- 학교입학:초등학교 입학은 한국식 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, 만나이가 되면 6세부터 의무입학을 하게 됩니다.
- 병역:병역법에도 만나이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생일을 기준으로 병역판정을 하게 됩니다.
- 청소년법:청소년이란 만 19세 미만인 사람을 말합니다 따라서 크게 변화는 없어 보입니다.
- 국민연금:국민연금은 현재 만나이로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변화는 없다고 합니다.
만나이 계산방법
서두에 언급한 것처럼 만 나이 계산방법은 태어나면 0살 다음 해 생일이 지마면 한 살을 먹게 됩니다 , 이런 계산방법이 익숙하지 않아서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는데요 포털 검색사이트의 만 나이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만나이 계산이 가능합니다.
아래표에서 올해 내 만 나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반응형
댓글